우성중장비직업전문학교
03년 1회 굴삭기
1. 감압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 ㉮시동을 도와주는 장치 ㉯출력을 증가하는 장치 ㉰연료 손실을 감소시키는 장치 ㉱화염 전파속도를 빨리해 주는 장치 2. 기관의 피스톤이 고착되는 원인으로 맞지 않는 것은? ㉮기관오일이 너무 많았을 때 ㉯피스톤 간극이 적을 때 ㉰기관오일이 부족하였을 때 ㉱기관이 과열되었을 때 3. 기관의 실린더 수가 많을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? ㉮가속이 원활하고 신속하다. ㉯기관의 진동이 적다. ㉰저속 회전이 용이하고 큰 동력을 얻을 수 있다. ㉱연료 소비가 적고 큰 동력을 얻을 수 있다. 4. 디젤기관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? ㉮연료공급을 차단한다. ㉯초크밸브를 닫는다. ㉰기어를 넣어 기관을 정지한다. ㉱축전지에 연결된 전선을 끊는다. 5. 작업현장에서 드럼통으로 연료를 운반했을 경우 올바른 주유 방법은? ㉮불순물을 침전시킨 후 침전물이 혼합되지 않도록 주입한다. ㉯불순물을 침전시켜서 주입한다. ㉰연료가 도착하면 즉시 주입한다. ㉱수분이 있는가를 확인 후 즉시 주입한다. 6. 다음 중 디젤기관만이 가지고 있는 부품은? ㉮인젝터(injector) ㉯인젝션펌프(injection pump) ㉰연료펌프(fuel pump) ㉱오일펌프(oil pump) 7. 기관이 과열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? ㉮물자킷 내의 물때 형성 ㉯팬벨트의 장력 과다 ㉰분사시기의 부적당 ㉱냉각수 부족 8. 엔진 과열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? ㉮금속이 빨리 산화되고 변형되기 쉽다. ㉯윤활유 점도 저하로 유막이 파괴된다. ㉰각 작동부분이 열팽창으로 고착된다. ㉱연료소비율이 줄고 효율이 향상된다. 9. 윤활유의 성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은? ㉮온도 ㉯건도 ㉰점도 ㉱습도 10. 엔진의 윤활유 소비량이 과다해지는 가장 큰 원인은? ㉮오일 여과기 불량 ㉯냉각펌프 손상 ㉰기관의 과열 ㉱피스톤링 마멸 11. 에어클리너가 막혔을 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 ㉮배기색은 흰색이며, 출력은 저하된다. ㉯배기색은 흰색이며, 출력은 증가한다. ㉰배기색은 검은색이며, 출력은 저하된다. ㉱배기색은 무색이며, 출력은 정상이다. 12. 건설기계 엔진에 사용되는 시동모터가 회전이 안되거나 회전력이 약 한 원인이 아닌 것은? ㉮시동스위치 접촉불량이다. ㉯배터리 전압이 낮다. ㉰배터리 단자와 터미널의 접촉이 나쁘다. ㉱브러시가 정류자에 완전 밀착되어 있다. 13. 스타트 릴레이의 설치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? ㉮축전지의 충전을 용이하게 한다. ㉯엔진 시동을 용이하게 한다. ㉰키 스위치를 보호한다. ㉱기동 전동기로 많은 전류를 보내어 충분한 크랭킹 속도를 유지한다. 14. 전류의 3대 작용이 아닌 것은? ㉮발열 작용 ㉯화학 작용 ㉰물리 작용 ㉱자기 작용 15. 전자제어 디젤 분사장치에서 연료를 제어하기 위해 센서로부터 각종 정보(가속페달의 위치, 기관속도, 분사시기, 흡기, 냉각수, 연료온도 등) 를 입력받아 전기적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것은? ㉮자기진단(self diagnosis) ㉯제어유닛(ECU) ㉰컨트롤 슬리브 액츄에이터 ㉱컨트롤 로드 액츄에이터 |
16. 축전지의 자기방전의 원인이 아닌 것은? ㉮음극판의 작용물질이 황산과의 화학작용으로 황산납이 되기 때문에 ㉯전해액에 포함된 불순물이 국부전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㉰탈락한 극판 작용물질이 축전지 내부에 퇴적되기 때문에 ㉱전해액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17. 축전지를 병렬로 2개 접속할 경우 가장 적절한 것은? ㉮축전지 용량이 증가한다. ㉯전압이 증가 또는 감소한다. ㉰축전지 셀의 저항이 감소한다. ㉱축전지 전압이 증가한다. 18. 굴삭기의 하부 추진체와 트랙의 점검항목 및 조치 사항을 열거한 것 중 틀린 것은? ㉮구동 스프로킷의 마멸한계를 초과하면 교환한다. ㉯각부 롤러의 이상 상태 및 리이닝 장치의 기능을 점검한다. ㉰트랙링크의 장력을 규정값으로 조정한다. ㉱리코일 스프링의 손상등 상하부 롤러에 균열 및 마멸 등이 있으면 교환 한다. 19. 무한 궤도식 굴삭기와 타이어식 굴삭기의 운전 특성에 대한 설명으 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 ㉮타이어식은 장거리 이동이 쉽고 기동성이 양호하다. ㉯무한 궤도식(crawler)은 기복이 심한 곳에서나 좁은 장소에서는 작업이 불리하다. ㉰타이어식(wheel)은 변속 및 주행 속도가 빠르다. ㉱무한 궤도식은 습지, 사지에서 작업이 유리하다. 20. 토크 변환기가 설치된 지게차의 기동 요령은? ㉮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저고속 레버를 저속위치로 한다. ㉯클러치 페달을 조작할 필요없이 가속페달을 서서히 밟는다. ㉰클러치 페달에서 서서히 발을 떼면서 가속페달을 밟는다. ㉱클러치 페달을 밟고 저고속 레버를 저속위치로 한다. 21. 장비의 뒤부분에 설치되어 화물을 실었을 때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은? ㉮기관 ㉯클러치 ㉰변속기 ㉱평형추 22. 기중기의 훅 작업시 가장 안정적인 붐의 작업 각도는? ㉮78° 30´ ㉯55° ㉰66° 30´ ㉱20° 30´ 23. 로우더의 작업 중 그레이딩 작업이란? ㉮깎아내기 작업 ㉯굴착 작업 ㉰지면 고르기 작업 ㉱적재 작업 24. 클러치를 밟아도 동력이 차단되지 않는 이유는? ㉮클러치 페달의 유격이 없을 때 ㉯압력판의 압력스프링이 쇠약할 때 ㉰클러치 페달의 유격이 과다할 때 ㉱플라이휠의 런아웃이 없을 때 25. 타이어에서 트레드 패턴과 관련 없는 것은? ㉮제동력, 구동력 및 견인력 ㉯타이어의 배수효과 ㉰편평율 ㉱조향성, 안정성 26. 조향기구장치에서 앞액슬과 너클 스핀들을 연결하는 것은? ㉮타이로드 ㉯스티어링암 ㉰드래그 링크 ㉱킹핀 27. 매매를 위하여 건설기계매매사업장에 제시된 건설기계를 운행할 수 있는 사유가 아닌 것은? ㉮정비를 받고자 하는 경우 ㉯매수인의 요구에 의하여 2킬로미터 이내의 거리를 시험 운행하고자 하는 경우 ㉰정기검사를 받고자 하는 경우 ㉱일시 대여하고자 하는 경우 28. 건설기계의 소유자는 다음 어느령에 정하는 바에 의하여 건설기계의 등록을 하여야 하는가? ㉮행정자치부령 ㉯노동부령 ㉰총리령 ㉱대통령령 29. 건설기계의 구조변경 범위 대상이 아닌 경우는? ㉮건설기계의 기종 변경 ㉯원동기의 형식 변경 ㉰조종장치의 형식 변경 ㉱주행장치의 형식 변경 |
30. 건널목을 통과할 때 일시 정지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는 경우는? ㉮경보가 울리고 있을 때 ㉯간수가 진행 신호를 하고 있을 때 ㉰앞차가 건널목을 통과하고 있을 때 ㉱차단기가 내려지려고 할 때 31. 최고 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할 경우는? ㉮비가 내려 노면에 습기가 있을 때 ㉯눈이 20 밀리미터 이상 쌓일 때 ㉰노면이 얼어 붙은 때 ㉱폭우 폭설 안개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일 때 32. 속도 준수에 관한 설명이다. 옳은 것은? ㉮일반도로의 제한속도 지정은 행정자치부장관이 지정하므로 철저히 준수 하여야 한다. ㉯법정운행 속도만 준수하면 제한속도는 준수할 필요가 없다. ㉰지정된 제한속도 보다 법정 운행속도가 우선한다. ㉱특별히 속도가 지정된 구역 또는 구간에서는 제한속도를 준수해야 한다. 33.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인 것은? ㉮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일시 정지하고 통과 ㉯진행 신호등에 의하여 일시 정지 불이행 통과 ㉰신호등에 의하여 서행으로 통과 ㉱경보음이 깜빡이고 있을 때 보행자가 없어 신속히 통과 34. 도주차량 신고로 인한 벌점상계에 대한 특혜점수는? ㉮120점 ㉯30점 ㉰40점 ㉱특혜점수 없음 35. 유체클러치에서 와류를 감소시키는 장치는? ㉮가이드링 ㉯스테이터 ㉰임페러 ㉱펌프 36. 유압계통에서 오일의 누설 점검시 유의 사항이 아닌 것은? ㉮실(seal)의 파손 ㉯실(seal)의 마모 ㉰오일의 윤활성 ㉱볼트의 이완 37. 유압유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? ㉮화학적 안전성이 클 것 ㉯밀도가 클 것 ㉰내열성이 클 것 ㉱체적 탄성계수가 클 것 38. 작동유에 수분이 혼입되었을 때의 영향이 아닌 것은? ㉮오일 탱크의 오버플로우 ㉯유압 기기의 마모 촉진 ㉰작동유의 열화 ㉱캐비테이션 현상 39. 유압 모터의 장점이 될 수 없는 것은? ㉮소형 경량으로서 큰 출력을 낼 수 있다. ㉯공기와 먼지 등이 침투하여도 성능에는 영향이 없다. ㉰변속, 역전의 제어도 용이하다. ㉱속도나 방향의 제어가 용이하다. 40. 유압펌프가 오일을 토출하지 않을 경우는? ㉮릴리프 밸브의 설정압이 낮을 때 ㉯유압유의 점도가 낮을 때 ㉰펌프의 회전이 너무 빠를 때 ㉱흡입관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있을 때 41. 유압실린더 등이 중력에 의한 자유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배압을 유지 하는 압력제어 밸브는? ㉮언로드 밸브 ㉯감압 밸브 ㉰시퀸스 밸브 ㉱카운터밸런스 밸브 42. 유압펌프의 기능을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? ㉮원동기의 기계적에너지를 유압에너지로 전환한다. ㉯어큐뮬레이터와 동일한 기능이다. ㉰유압에너지를 동력으로 전환한다. ㉱유압회로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기구이다. 43.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기호 표시는?
㉮ 44. 유압장치에서 두개의 펌프를 사용하는데 있어 펌프의 전체 송출량을 필요로하지 않을 경우 동력의 절감과 유온상승을 방지하는 장치는? ㉮무부하 밸브(unloading valve) ㉯감압 밸브(pressure reducing valve) ㉰압력 스위치(pressure swich) ㉱카운터 밸런스 밸브(count balance valve) |
45. 유압 컨트롤 밸브내에 스풀형식의 밸브가 사용되는 이유는? ㉮계통내의 압력을 바꾸기 위해 ㉯펌프의 회전방향을 바꾸기 위해 ㉰축압기의 압력을 바꾸기 위해 ㉱오일의 흐름방향을 바꾸기 위해 46. 다음중 유압실린더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? ㉮유압쿠션 ㉯실린더큐브 ㉰유압밴드 ㉱피스톤 47. 물건을 운반하려고 하는데 로프의 하중이 가장 크게 걸리는 것은? ㉮60° ㉯75° ㉰45° ㉱30° 48. 전기 화재 소화시 가장 적당치 못한 소화기는? ㉮포말 소화기 ㉯CO² 소화기 ㉰분말 소화기 ㉱증발성 액체 소화기 49. 다음 중 장갑을 끼고 작업하여서는 안되는 것은? ㉮드릴 작업 ㉯용접 작업 ㉰판금 작업 ㉱줄 작업 50. 다음에서 안전하게 공구를 취급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? ㉮사용전에 손잡이에 묻은 기름 등은 닦아내어야 한다. ㉯공구를 사용한 후 제자리에 정리하여 둔다. ㉰예리한 공구 등을 주머니에 넣고 작업을 하여서는 안된다. ㉱작업중 공구를 타인에게 죽달된자가 던져 전달하면 작업능률이 좋다. 51. 스패너 작업 중 가장 옳은 것은? ㉮스패너 자루에 조합렌치를 연결해서 사용하여도 된다. ㉯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서 사용한다. ㉰볼트 머리보다 약간 큰 스패너를 사용하여도 된다. ㉱고정 죠에 힘이 많이 걸리도록 한다. 52. 동력 전동장치 중 가장 재해가 많은 것은? ㉮벨트 ㉯차축 ㉰기어 ㉱커플링 53. 작업장의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? ㉮엔진오일은 조금 흘려도 된다. ㉯작업이 끝나면 모든 사용 공구는 정위치에 정리정돈한다. ㉰무거운 쇳덩이는 반드시 사람의 힘으로 옮기지 않아도 된다. ㉱공구는 제자리에 모은다. 54. 이동식 기계의 운전자는 안전을 고려하여 작업을 하여야 한다. 다음 중 안전에 잘못된 것은? ㉮급선회는 피한다. ㉯물체를 높이 올린채 주행이나 선회를 피한다. ㉰항상 주변의 근로자나 장애물에 주의하여 안전여부를 확인한다. ㉱이동중에는 항상 최고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. 55. 기계적업시 접근하였을 때 가장 위험한 것은? ㉮절단기 ㉯선반 ㉰띠톱 기계 ㉱프레스 56. 산업재해 방지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위험요인을 발견하는 방법으 로 가장 적합한 것은? ㉮안전점검 ㉯안전대책의 적용 ㉰경영층 참여와 안전조칙 ㉱기술 개선과 시정방법 선정 57. 도시가스가 공급되는 지역에서 굴착공사를 하고자 하는 자는 가스배 관보호를 위하여 누구와 협의하여야 하는가? ㉮경찰서장 ㉯소방서장 ㉰한국가스안전공사 ㉱도시가스사업자 58. 도로굴착자가 굴착 공사전에 이행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은 것은? ㉮도면에 표시된 가스배관과 기타 지장물 매설유무를 조사하여야 한다. ㉯위치 표시용 페인트와 표지판 및 황색깃발 등을 준비하여야 한다. ㉰소속회사의 안전관리자와 일정을 협의하여 시험 굴착 계획을 수립하 여야 한다. ㉱조사된 자료를 시험굴착위치 및 굴착개소 등을 정하여 가스배관 매설 위치를 확인하여야 한다. 59. 22.9kv 지중선로 보호표시로써 틀린 것은? ㉮지중선로 표지주 ㉯지중선로 표지기 ㉰지중선로 표시등 ㉱케이블표지 시트 60. 송전선로에 대하여 전기사업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등 관계법령에 저촉되거나 위해의 발생이 우려될 경우에 한전 순시원이 공사시공자에 게 발행하는 것은? ㉮위험작업 협의 통보서 ㉯무단작업 경고 통보서 ㉰공사 중지 통보서 ㉱위해 안내서 |